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차상위계층 확인방법은?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카테고리 없음 2020. 6. 15. 13:19
    반응형

    차상위계층 확인방법은?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지난번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자격요건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차상위계층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소득인정액이 국민소득을 일렬로 세웠을 때 정가운데에 해당하는 기준중위소득의 30% 이하여야 자격요건이 되는데요, 차상위계층은 기준중위소득의 50% 이하여야 합니다. 






    차상위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는 아니나 잠재적 빈곤층을 말하며, 소득이 최저생계비 이하이나 부양가족이나 재산이 있다는 이유로 기초생활수급자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차상위계층 조건인 기준중위소득 50% 이하는 다음과 같습니다. 




    1인가구 87만8597원

    2인가구 149만5990원

    3인가구 193만5289원

    4인가구 237만4587원

    5인가구 281만3886원

    6인가구 325만3184원







    위의 이미지처럼 복지로에 들어가 한눈에 보는 복지정보>저소득층>차상위계층을 선택하면 다양한 혜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상위계층에 해당되면 생계지원, 의료지원, 주거지원, 교육지원, 돌봄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데, 그 혜택이 56가지나 된다고 합니다. 



    급식이나 의료, 전기요금, 교육비, 장학금, 돌봄지원 등 다양한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차상위계층 확인방법을 통해 대상자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우선입니다.

    생계급여는 기준중위소득 30% 이하, 의료급여는 기준중위소득 40% 이하, 주거급여는 기준중위소득 45% 이하, 교육급여는 기준중위소득 50% 이하면 대상자가 되니 위의 기준중위소득 50%를 참고해 추측해보셔도 됩니다. 



    복지로에서 하는 차상위계층 확인방법은?


    복지로에 들어가서 모의계산을 통해 차상위계층 대상자인지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직접 조건을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100%는 아니나 대략적으로는 확인이 가능합니다. 한눈에 보는 복지정보에서 <복지서비스 모의계산>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분류가 돼있는데요, 이중에서 국민기초생활보장을 선택합니다.




    여기에 가구원수는 몇 명이고, 한부모 가구에 해당하는지와 같은 기본정보와 소득, 재산, 부양의무자 여부 등을 기입하면 대상이 되는 혜택을 알려줍니다. 소득이 없어도 재산이 많으면 해당이 안 될 수 있습니다.





    저는 한달 소득이 150만원이며 서울 5000만원 전세에 사는 한부모가정으로 가정하여 입력해보았습니다. 중위소득 36% 이하로 계산돼 주거급여와 교육급여 대상자가 되는 것으로 나옵니다. 가장 정확한 것은 해당 주민센터에 문의해보는 것입니다. 복지상담전화인 129로 전화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자격요건과 지급액은?

    의료보험 피부양자 자격은?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