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0년 건강보험요율
    카테고리 없음 2020. 5. 5. 01:03
    반응형

    2020년 건강보험요율


    매년 물가도 오르지만, 그에 맞춰 4대보험도 오르는데요. 특히 건강보험요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2015년 6.07%에서 매년 야금야금 올라 6.67%까지 올랐습니다.





    2020년 건강보험요율은 2019년 6.46%에서 0.21% 오른 6.67%로 인상률은 3.2%입니다. 그런데 특히 많이 오른 것은 장기요양보험료율인데요, 2019년 8.51%에서 10.25%가 올라 상승률은 무려 20.5%입니다. 





    2020년 건강보험요율에 따라 사업주가 3.335%, 근로자가 3.335%를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회사를 다니시는 분이라면 본인월급에 3.335%를 곱하면 건강보험료로 얼마가 나가는지 알 수 있습니다. 장기보양보험료는 산출된 건강보험료에 10.25%를 곱해주면 됩니다. 급여 대비로 계산하시려면 급여에 0.342%를 곱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부담하는 월평균 건강보험료는 11만2365원에서 11만6018원으로 3653원이, 지역가입자의 가구당 월 평균 보험료는 8만7067원에서 8만9867원으로 2800원이 올랐습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가구당 2천204원이 증가했습니다.





    2020년 국민연금요율은 기존 9% 그대로 유지되어 사업주가 4.5%, 근로자가 4,5%를 부담합니다. 고용보험요율은 6년간 동결되었다가 2019년 1.6%로 인상되었는데 이는 2020년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고용보험요율 역시 사업주와 근로자가 반반씩 부담해 각각 0.8%를 부담합니다. 산재보험요율은 업종별로 다르고 근로자 부담이 없으니 패스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월급 300만원을 받는다는 가정하에 내가 내는 4대보험료는 얼마가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건강보험 300만원*3.335%=100,050원

    장기요양보험 300만원*0.342%=10,260원

    국민연금 300만원*4.5%=135,000원

    고용보험 300만원*0.8%=24,000원

    합계 269,000원






    월급에 9% 정도를 4대보험료로 납부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기에 소득세까지 합해보면 월급의 10%는 세금으로 내는 셈입니다. 연봉이 인상돼도 월실수령액이 크게 늘어나지 않은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하려면? 조건과 나이 알아보기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은? 종합소득세 과세표준까지!


    댓글

Designed by Tistory.